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슈

(24)
2020년 2020년 한 해는 코로나로 시작했고 코로나로 끝났다. 사회 경제 이슈 등 모든 곳에 코로나가 함께 했다. 지긋지긋한 코로나 2021년에는 종식되기를 바란다. 2020년 가장 뜨거웠던 키워드는 투자가 아닐까 싶다. 코로나 발 1차 팬데믹을 기점으로 모든 자산이 일시에 출렁였고,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또다시 양적완화 카드를 꺼내 들고 금리를 동결시켰다. 이와 동시에 모든 자산 가격이 불반 등을 물론이고 2020년 내내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왔다. 우리나라도 동학개미운동을 비롯해 주식에 입문해 큰 수익률을 벌게 된 투자자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안다. 나 역시 뒤늦게 국내, 해외 주식, 비트코인 등에 투자를 했지만, 이사 문제로 돈이 묶여 있기도 했거니와, 보수적인 투자로 큰 이익을 보지 못했다. 돌이켜보면 너무..
끊기 힘든 배달음식 news.v.daum.net/v/20201021113937552 5년간 배달음식만 먹다 급비만..30명이 크레인으로 꺼내 병원 이송 영국에서 가장 무거운 남성이 크레인에 실려 5년 만에 집 밖으로 나왔다. 20일(현지시간) 더선에 따르면 영국 서리주 캠벌리에 사는 30세 남성 제이슨 홀튼은 배달 음식에 중독돼 5년 동안 집밖으� news.v.daum.net 오전에 기사 하나를 접하고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다. 최근 나와 와이프는 1주일 동안 1회에 한해서 배달음식을 시켜먹을 수 있는 제한을 두고 있다. 결혼 후 신혼의 기간 동안 꽤 많은 배달음식과 외식, 간식, 커피 등을 사 먹어 경제적 지출도 늘어났고, 건강 또한 시나브로 나빠지기 시작했기 때문에 만들어진 규칙이다. 어느 날 와이프와 쓸모없는 지출에 대..
2020 스타벅스 프리퀀시 feat.당근마켓 오늘 하루 인기 검색어나 기사에도 오를 만큼 이슈가 된 것 바로 당근마켓에서 팔고 있는 스타벅스 프리퀀시다. 이게 왜 이슈가 되고 있느냐,,,,,, 프리퀀시를 돈으로 사고파는 중고거래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 프리퀀시란? 매년마다 스타벅스는 굿즈 증정 이벤트를 진행한다. 매장에서 1장의 음료를 구입하면, 1장의 프리퀀시를 적립할 수 있다. (단 쿠폰, 기프티콘으로 구매하는 일부 상품은 제외) 이렇게 굿즈 증정 이벤트 기간 동안 모든 프리퀀시의 적립을 완료하면 굿즈를 받을 수 있다. 올해 프리퀀시는 일반 음료 14잔과 미션 음료라는 가격이 더 높은 음료 3잔을 구매해야만 굿즈를 받을 수 있다. 최소 금액을 계산하여도, 꽤 비싼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일반 음료 최소비용 : 4,100 x 14 =..
트위터 - 영원한 재택근무 선언 트위터가 원하는 직원들에 한해 영원한 재택근무를 선언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4575842&code=61131511&cp=nv 트위터 CEO 선언 “코로나19 끝나도 계속 재택근무” 트위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전 세계 직원들이 무기한 재택근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트위터는 13일 잭 도시 트위터 최 news.kmib.co.kr 기사 본문에도 나왔듯이 트위터는 재택근무(work from home, WFH)을 시행한 최초의 회사였다. 그리고 이번 선언도 다른 기업들에게 미칠 파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 IT기업들도 이런 트위터의 선언에 어떤 반응을 보일 것인가. 코로..
포스트코로나 - 코로나 이후를 말한다. "포스트코로나"란? 2019년 12월 우한에서 처음 발생했고 그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걷잡을 수 없게 확산되어 2020년 3월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pandemic)한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에 관한 말이며, 현재도 전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이 사태 이후의 개인의 삶과 국가의 모습이 이전처럼 돌아갈 수 없고 변화된 새로운 모습을 갖게 된다는 뜻이다.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많은 개인과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겪었고 새로운 질서를 쓰고 있다. 내가 다른 글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었던, 이른바 뉴 노멀의 시대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기준이나 표준의 시대)가 도래한다는 것이다. 사회 전방위적으로 많은 부분이 바뀌었지만 무엇이 크게 가시적인 변화는 무엇이 있을까? 언택트(비대면) 시대의..
리테일 대붕괴 (Retail Meltdown) 최근 다시 이슈 되고 있는 리테일 대붕괴 (Retail Meltdown) 란 무엇인가 사실 리테일의 몰락이란 단어, 이슈는 최근에 나온 키워드도 아니고, 예견하지 못했던 것도 아니었다. 이미 2000년대 초반 온라인이 대중화된 시점부터 우리는 어느 정도 예측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마치 북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는 사실을 환경운동가들이 수없이 외쳐도 인지는 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너무 크고 추상적인 범지구적 문제에 대한 대비를 개인으로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듯이, 이 엄청난 흐름의 기술의 발전은 서서히 전통 산업의 구조부터 뜯어고쳐나가고 있다. 이른바 뉴 노멀의 시대(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기준이나 표준의 시대)이다.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리테일 기업, 업체들이 심각한 위기임에는 분..
나도받을수있을까? - 긴급재난지원금 100만원 방금전 뉴스 속보로 뜬 기사다.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3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정부는 지자체와 협력해 중산층을 포함한 소득 하위 70% 가구에 대해 4인 가구 기준으로 가구당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2050만 가구 중 약 1400만 가구가 긴급재난지원금을 받게 될 전망이다. 4인 가구 기준 최대 100만원을 받고, 5인 이상 가구는 조금 더, 1~3인 가구는 덜 받는 식이다. 현금이 아닌 ‘사용 기한이 있는’ 상품권 또는 체크카드 형태로 지급될 가능성이 크다.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은 ‘중위소득 150% 이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위소득은 총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 중위소..
코로나 가고 "한타바이러스"가 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중국에서 진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 19 진원지인 중국에서 최근 '한타바이러스'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했다. 25일 글로벌타임즈 보도에 따르면 지난 23일 윈난성 출신의 노동자 톈(田) 모씨는 버스로 일터가 있는 산둥(山東) 성으로 가는 길 산시(山西) 성을 지나다가 사망했다. 톈씨는 사후 검사에서 한타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코로나 19에는 음성 반응이 나왔다. 의료진의 검사 결과, 이 남성은 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와 함께 버스에 탔던 사람들 가운데 발열 증상을 보인 2명도 함께 검사를 진행 중에 있다. 한타바이러스는 한국전쟁 당시 한탄강 유역에서 많은 사람을 사망하게 만든 바이러스다. 1976년 강원 철원군에 위치한 '한탄강'..

반응형